한경Teset
[한경Teset] 1.경제기초
Godwony
2020. 12. 23. 23:09
반응형
I. 경제 기초
1. 희소성과 선택, 경제문제, 시장경제, 경제순환
희소성과 선택
희소성
- 한정되어 있는 자원 (돈, 시간 등)
- 선택에는 반드시 비용이 뒤따름
- 기회비용
- 명시적 비용과 가장 큰 순편익을 합한 비용
- 명시적 비용 : 선택한 대안에 직접 들어가는 비용
- 순편익(이익) : 포기한 대안에서 얻을 수 있는 비용
- 자원의 희소성 때문에 선택을 하고 선택할 때는 반드시 기회비용을 부담하게 됨
경제문제 시장경제
- 3가지 경제 문제
- 제한된 자원으로 무엇을 만들 것인가
- 어떻게 만들 것인가
- 누구에게 분배할 것인가
- 시장경제체제로 해결
- 공급자와 수요자의 자유로운 거래에 의해 형성되는 시장 가격을 신호로 삼아 경제문제가 해결되도록 함
- 사람들이 많이 원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이 시장에서 높게 형성되고 이를 신호로 비싼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보다 많은 자원이 배분되도록 함
- 가격이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계약자유의 원칙, 소유권 제도의 확립, 통화가치의 안정 등의 제도 확립이 매우 중요함
분업과 특화 생산성 거래
- 시장경제는 시장에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만나 교환하는 체제이므로 생산과정에서 분업과 특화가 자연적으로 발생함
- 상호 작용을 통해서 사회 전체의 부를 증가시킴
- 산업 혁명이후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넘오오면서 크게 확산됨
- 다른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찾아내는 과정이 더 중요함
- 분업과 특화를 강조한 애덤스미스 (국부론)
- 경제주체
- 가계, 기업, 정부
- 경제활동
- 소비, 생산, 분배활동
- 경제순환
- 경제주체가 서로 협력하며 경제활동을 하는 순환과정
- 소비활동의 주체 : 가계
- 생산활동의 주체 : 기업
- 분배
- 기업은 가계에 생산물을 공급함
- 가계는 기업에 생산요소(노동, 자본, 토지)를 공급함
- 기업은 가계로부터 공급받는 생산요소에 대한 합당한 대가를 지불
- 정부는 특히 시장이 해결하지 못하는 시장실패의 영역에 개입하여 실패를 교정하는 역할을 함

2. 합리적 선택
기회비용, 경제적 이윤
어떤 자원 활용 방안을 선택했을 때 얻을 수 있는 편익이 비용보다 커야 그 방안이 합리적임
편익은 만족도(소비자) 내지 매출액(생산자) 이고 비용은 기회비용(경제적 비용)이어야 함
최대의 순편익(순이익) 까지 비용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편익이 비용보다 크면 그 선택은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배분(활용)하는 합리적 선택임
경제적 이윤
- 편익(매출액)에서 기회비용을 차감한 이윤
- 경제적 의사결정의 판단 기준으로 경제학의 가장 중요한 개념
- 경제적 이윤이 0 보다 클때 그 선택은 합리적임
- 매출액에서 명시적비용과 암묵적 비용을 모두 차감함 (회계적이윤보다 항상 작음)
- 모든 경제주체들의 자원이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스스로 판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함
회계적 이윤
- 매출액에서 명시적 비용(회계적 비용)만 차감함
- 경제주체들이 외부 이해관계자들(채권자, 주주, 거래처 등)에게 사업 운영실적을 보여주기 위해 작성함
-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명시적 비용만 비용으로 반영함
경제적 부가가치(EVA) = 경제적 이윤
기회비용
- 선택
- 포기 한 것 중 가치가 큰 것
- 경제적 의사 결정에 대한 기준
구분 | 시간 | 금액 | -- | 회계적비용 |
---|---|---|---|---|
영화 | 2h | 10,000원 | 2시간에 대한 기회비용 | 10,000원 (명시적 비용) |
알바 | 1h | 9,000원 | 18,000원 (암묵적비용) | |
심부름 | 1h | 3,000원 |
- 영화와 알바는 성격이 다른 비용임
매몰 비용
- 이미 투입된 비용으로서 경제행위를 중단하더라도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말함
- 비용에 포함시켜서는 안됨
- 기업의 공장 설비 등의 고정비는 단기적으로 매몰비용임
한계수입(효용), 한계비용
- 한계수입
- 공급자가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추가로 생산 판매했을 때 얻는 수입(매출)
- 한계비용
- 한 단위 추가로 생산 판매했을 때 들어가는 비용
- 편익 비용 기준으로 판단을 하지만 총편익 총비용이 아니라 한계편익 한계비용을 비교해서 추가 파매 여부를 결정함
- 한계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총액기준으로 판단한느 것보다 간편하고 총량기준으로 판단 시 매몰비용까지 비용에 포함시켜 잘못된 결론에 이를 수 있기 때문

판매가격에서 변동비를 뺀 공헌이익
- 기업들이 직면하는 시장은 경쟁시장이고 추가 판매 의사결정은 고정비를 변동시킬 수 없는 단기 상황이기 때문임
- 그래서 개당 판매가격에서 변동비를 차감한 이윤이 0 이상이면 추가 판매를 하는것이 합리적임
- 이때 개당 판매가격에서 개당 변동비를 차감한 이윤
3. 효율과 형평, 인과관계와 상관관계, 규범과 실증
효율과 형평
- 효율성
- 최소의 투입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는 기준
- 객관적인 측정 가능
- 형평성
- 공정성과 관련된 기준
- 규범적이고 주관적인 개념으로 객관적 측정이 불가능
상관관계, 인과관계
- 상관관계
- 변수 간에 서로 관계 있을 때 상관관계가 있다고 함
- 인과관계
- 어느 한쪽이 원인이 되어 다른 하나의 결과가 나타났다면 둘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있다고 함
- 상관관계도 아닌 단순 전후관계를 인과관계로 해석하는 오류도 경계해야 함
실증과 규범
- 실증경제학
- 경제현실을 있는 그대로 부넉해서 어떤 결론을 도출해 내려는 학문
- 쌀값 통계를 바탕으로 쌀값 하락은 쌀의 수요를 늘린다고 말하는 것
- 규범경제학
- 어떻게 되어야 한다는 가치판단이 개입되는 학문
- 쌀은 서민들의 주식이므로 쌀값은 안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
- 경제학은 크게 보면 '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인다'는 목표(규범)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경제 현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해서 방법론을 찾아가는 학문이라고 볼 수 있음

반응형